공부는 끝이 없다../재경관리사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문제풀이] 2011년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효과

픽마 2025. 1. 17. 12:36
728x90
반응형

Q :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모든 상장사에 대하여 국제회계기준을 전면 도입하였다. 다음 중 이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각국의 회계기준이 별도로 운영됨에 따라 발생했던 비용이 절감되었다.
2) 재무정보의 국제적 비교가능성이 제고된 반면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졌다.
3) 국제적 합작계약 등에서 상호이해가능성이 증가되었다.
4) 해외 사업 확장을 촉진하여 자본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었다.


 

정답:

2) 재무정보의 국제적 비교가능성이 제고된 반면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졌다.


해설:

  1. (1) 각국의 회계기준이 별도로 운영됨에 따라 발생했던 비용이 절감되었다.
    •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회계기준을 사용할 수 있어, 다국적 기업이 각국의 서로 다른 기준을 따르기 위해 발생했던 추가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2. (2) 재무정보의 국제적 비교가능성이 제고된 반면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졌다.
    • 국제회계기준(K-IFRS)은 재무정보의 국제적 비교가능성을 높이고, 정보 이용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원칙 중심의 회계처리가 가능해졌고, 이는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졌다"**는 설명은 부적절하다.
  3. (3) 국제적 합작계약 등에서 상호이해가능성이 증가되었다.
    • 통일된 회계기준을 사용함으로써, 기업 간 재무정보 해석의 상호이해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는 특히 국제적 합작계약이나 협력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설명은 올바르다.
  4. (4) 해외 사업 확장을 촉진하여 자본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었다.
    •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기업의 재무제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한국 기업의 해외 사업 확장 및 자본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 설명도 올바르다.

추가 팁:

국제회계기준 도입 효과는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주제이다. 주요 키워드로 비교가능성, 신뢰성, 국제적 이해 증대, 자본시장 활성화 등을 기억하면 유사 문제 풀이에 도움이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