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재고자산 11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문제풀이] 기말재고 계산

Q 위드회사의 20x5년도 재고자산 관련 자료는 아래와 같다. 20x5년 말 실제상품 재고액을 조사한 결과 기말상품 재고액은 1,100,000원으로 나타났다. 위드회사의 포괄손익계산서에 의한 매출총이익률은 항상 30%를 유지하고 있다면 20x5년 중에 도난당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상품은 얼마인가? - 기초상품재고액 1,100,000원 - 판매원수수료 300,000원 - 매입액 4,400,000원 - 매입할인 200,000원 - 매입운임 100,000원 - 매출할인 200,000원 - 매출액 6,000,000원1) 540,000원2) 440,000원3) 340,000원4) 240,000원정답:4) 240,000원문제 분석매출총이익률 = 30% (따라서 매출원가는 70%)매출액, 매입액, 매출할인, 매입..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문제풀이] 매출총이익률법에 의한 기말재고자산원가

Q 위드회사의 매출총이익률은 순매출액의 20%이다. 매출총이익률법에 의한 기말재고자산원가는? - 총매출액 182,000원 - 매출환입 17,000원 - 총매입액 128,000원 - 매입환출 4,000원 - 기초재고자산 25,000원1) 17,000원2) 29,500원3) 33,500원4) 38,600원정답: 1) 17,000원해설: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매출총이익률 = 20%총매출액 = 182,000원매출환입 = 17,000원총매입액 = 128,000원매입환출 = 4,000원기초재고자산 = 25,000원매출총이익률법을 사용할 때, 기말재고자산원가는 매출총이익률을 통해 매출총이익을 구하고, 그로부터 매출원가를 구한 뒤, 이를 이용하여 기말재고자산을 계산한다.1. 순매출액 계산순매출액은 총매출액에서 매출환입을..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문제풀이] 재고자산의 평가에 관한 설명

Q 다음 중 재고자산의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한다.2) 원재료의 현행대체원가와 장부금액보다 낮게 추정된다면 예외 없이 재고자산평가손실이 발생한다.3) 상품 및 제품의 순실현가능가액은 예상판매가격에서 추가예상원가 및 기타 판매비용을 차감한 금액으로 추정한다.4) 재고자산의 판매가 계약에 의해 확정되어 있는 경우 순실현가능가액은 그 계약가격이다.정답: 2) 원재료의 현행대체원가와 장부금액보다 낮게 추정된다면 예외 없이 재고자산평가손실이 발생한다.문제 해설1) 재고자산의 측정 기준 (올바른 설명)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NRV)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는 것이 원칙이다.이는 국제회계기준(K-IFRS)과 일반기업..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문제풀이] 재고자산 결산 수정분개의 당기손익 영향

Q 다음은 (주)삼일의 20x1 회계연도 결산 시 재고자산과 관련된 자료이다. 재고자산과 관련된 결산 수정분개가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옳은 것은? ㄱ. 결산수정분개 전 기말재고자산 장부상 수량 100개 ㄴ. 결산수정분개 전 기말재고자산 장부상 매입단가 200원/개 ㄷ. 기말재고자산 실사수량 95개 ㄹ. 기말재고자산의 예상판매가격 160원/개 ㅁ. 기말재고자산의 예상판매비용 예상판매가격의 5%1) 4,800원 증가2) 5,560원 증가3) 4,800원 감소4) 5,560원 감소정답: 4) 5,560원 감소문제 해설재고자산과 관련된 결산 수정분개는 두 가지 손실로 나눌 수 있다.재고자산감모손실: 실사 결과와 장부상 수량 차이로 인한 손실재고자산평가손실: 기말재고를 순실현가능가치와 취득원가 중 낮은..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문제풀이] 재고자산 - 재고자산감모손실/평가손실을 반영한 매출원가 계산

Q 다음 자료에서 재고자산평가손실은 (주)삼일의 재고자산이 진부화되어 발생하였다. 다음 자료 중 (주)삼일의 20x2년 포괄손익계산서상 매출원가 등 관련비용은 얼마인가? - 20x1년 12월 31일 재고자산 500,000원 - 20x2년 매입액 2,000,000원 - 20x2년 재고자산평가손실 200,000원 - 20x2년 재고자산감모손실(정상감모) 100,000원 - 20x2년 12월 31일 재고자산(평가손실과 감모손실 차감 후) 1,000,000원1) 1,200,000원2) 1,300,000원3) 1,400,000원4) 1,500,000원정답: 4) 1,500,000원문제 해설포괄손익계산서상 매출원가는 다음 항목들을 포함하여 계산한다. 이때, 정상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모두 매출원가에 포함되며,..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문제풀이] 기말재고자산 평가 - 총평균법과 선입선출법

Q 다음은 (주)삼일의 재고수불부이다. (주)삼일이 기말재고자산을 총평균법과 선입선출법으로 각각 평가할 경우 두 평가금액의 차이는 얼마인가? 기초재고 (1월 1일) / 1,000개 / 단위원가 100원   매입 (3월 5일) / 500개 / 단위원가 120원   매입 (5월 15일) / 1,500개 / 단위원가 140원   매입 (11월 10일) / 200개 / 단위원가 150원 총 판매가능수량 3,200개   매출(4월 22일) 1,500개   매출 (9월 29일) 1,000개 총 판매수량 2,500개   기말재고(12월 31일) 700개1) 2,500원 2) 7,500원 3) 10,000원 4) 12,500원정답 4) 12,500원문제 해설기말재고자산 평가 방법으로 총평균법과 **선입선출법(FIFO)..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문제풀이] 재고자산 가액 계산

Q 자동차 부품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주)삼일은 당기 중 원자재를 후불 조건으로 수입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의 원가가 발생하였다. 동 매입거리에 의하여 재무상태표상에 증가하게 될 재고자산의 가액은 얼마인가?(단, 거래당시의 환율은 1USD=1,000원) ㄱ. 재고자산의 매입단가 USD 1,000 ㄴ. 매입할인 USD 100 ㄷ. 운송보험료 100,000원 ㄹ. 환급 불가한 수입관세 및 제세금 20,000원 ㅁ. 재고자산 매입관리부서 인원의 매입기간 인건비 50,000원1) 900,000원2) 1,000,000원3) 1,020,000원4) 1,070,000원정답: 3) 1,020,000원문제 해설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재고자산을 취득하고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발생한 모든 원가를 포함한다...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재고자산 - 미착품, 적송품, 시송품

1. 미착품 (Goods in Transit)의의: 미착품은 물품이 판매자의 창고에서 구매자의 창고로 운송 중에 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물품은 아직 구매자에게 도달하지 않았지만, 운송 중인 상태이다. 2. 적송품 (위탁판매를 위해 위탁한 물품)의의: 적송품은 판매자가 물품을 위탁판매하기 위해 위탁업체에 보낸 물품을 말한다. 즉, 판매자가 소유권을 유지하면서도 위탁업체가 대신 판매할 목적으로 보낸 물품이다. 위탁판매자는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판매자에게 물품이 팔릴 때마다 판매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판매한다.회계 처리: 위탁판매의 경우, 판매자는 위탁업체에 보낸 물품을 자신의 재고자산으로 계속 유지한다. 위탁업체는 물품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 물품의 소유권은 판매자에게 있기 때문에 재고자산으로 인식하..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재고자산평가손실

재고자산의 저가법 적용 의의: 재고자산을 기말에 평가할 때, 그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이 순공정가치보다 높은 경우 이를 하향 조정하는 방법이다. 즉, 재고자산의 장부가액을 순공정가치 이하로 평가한다. Min[취득원가, 순실현가능가치]순공정가치(순실현가능가치): 순공정가치(순실현가능가치)는 재고자산을 판매할 수 있는 예상 가격에서 판매에 드는 비용을 차감한 금액이다. [순공정가치 =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의 예상 판매가격 - 추가 예상 판매비용의 원가]적용 기준: 순공정가치가 장부금액보다 낮을 경우,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을 순공정가치로 평가하여 그 차액만큼 재고자산 평가손실을 인식한다.제품, 상품 재공품의 평가는 순실현가능가치로 평가를 하나 원재료는 현재 시점에서 매입이나 재생산에 소요되는 금액인 현행대체원가를 ..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재고자산 - 표준원가법(Standard Cost Method)

표준원가법(Standard Cost Method)1) 의의표준원가법은 재고자산의 원가를 실제로 발생한 금액이 아닌 표준원가(예상 원가)로 측정하고, 실제 원가와 표준원가 간의 차이를 조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표준원가: 정상적인 생산 및 운영 조건하에서 예측된 단위당 재고자산의 원가.실제원가와의 차이: 원가차이(Variance)로 기록하며, 원가차이는 재고자산의 평가와 손익계산에 반영한다.2) 특징효율성 제고: 실제 원가를 매번 계산하지 않고 표준원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회계처리가 간소화되고 효율적이다.성과 분석 가능: 실제 원가와 표준원가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경영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하거나 개선점을 찾을 수 있다.조정 필요: 실제 원가와 표준원가 간 차이를 주기적으로 조정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재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