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효익과 원가의 정의
- 효익(Benefit):
-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 이용자(투자자, 채권자 등)가 얻는 경제적 가치나 의사결정의 향상.
- 예: 신뢰성 높은 재무제표를 통해 투자자들이 정확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경우.
- 원가(Cost):
- 정보를 수집, 처리, 제공하는 데 드는 비용.
- 예: 기업이 새로운 회계기준을 도입하거나 공정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를 고용하는 비용.
2. 효익과 원가의 균형이 중요한 이유
재무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은 이용자들에게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하지만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드는 비용이 너무 크다면, 이는 비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 어떤 중소기업이 새로운 회계기준(IFRS)을 적용하려고 한다고 가정해보자.
- 이를 위해 회계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외부 컨설팅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 만약 이 비용이 매우 크고, 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투자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해당 정보 제공은 효익보다 원가가 더 큰 비효율적인 결정이 된다.
3. 효익과 원가의 균형 사례
- 효익이 큰 경우:
- 상장기업이 분기별 실적 보고서를 제공.
- 투자자들이 기업 성과를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어 효익이 크다.
- 비용(회계처리, 공시 준비 등)은 있지만, 투자 신뢰 확보로 인한 효익이 이를 초과함.
- 원가가 너무 큰 경우:
- 소규모 기업이 복잡한 금융상품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여 공시하려고 함.
- 외부 전문가 고용, 시스템 구축 비용 등이 매우 크고, 해당 정보는 이해관계자들에게 실질적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효익보다 원가가 크다.
4. 효익과 원가 균형의 핵심 원칙
- 정보의 가치는 이용자가 얻는 편익에서 비롯된다.
- 정보 제공의 경제적 부담은 제공자의 원가에서 발생한다.
- 따라서, 정보 제공자는 효익이 원가를 초과할 경우에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5. 재경관리사 관점에서 중요 포인트
- 효익과 원가 간의 균형은 정보를 제공할지 말지 결정하는 기준이다.
- 효익이 원가를 초과하지 않으면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 시험에서는 "효익과 원가 간의 균형"이 질적특성에서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는 이유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 예시 질문: 왜 효익과 원가 간의 균형이 재무정보 제공 시 중요한가?
- 답변 포인트: 정보를 제공하는 비용이 과도하게 높으면, 정보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효익이 이를 초과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균형이 중요하다.
728x90
반응형
'공부는 끝이 없다.. >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재무제표의 일반적 속성, 재무상태표의 표시 대원칙, 재무상태표의 표시방법 (0) | 2025.01.16 |
---|---|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재무제표 요소의 인식 기준 (0) | 2025.01.16 |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재무제표의 기본 요소 (0) | 2025.01.16 |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 근본적/보강적/포괄적 제약 요인 (0) | 2025.01.16 |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국제회계기준(IFRS)과 일반기업회계기준(GAAP)의 특징과 차이점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