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근본적 질적특성 (Fundamental Qualitative Characteristics)
재무정보가 유용하려면 가장 먼저 충족해야 하는 핵심적인 특성이다.
1) 목적적합성 (Relevance)
목적적합성은 정보가 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말한다. 이를 위해 정보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충족해야 한다.
- 예측가치(Predictive Value):
예측가치는 정보가 미래의 경제적 사건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이다.- 예: 과거 5년간의 매출 성장률 데이터를 통해 기업의 향후 매출 성장 가능성을 판단.
- 확인가치(Confirmatory Value):
확인가치는 이전에 내린 의사결정을 평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다.- 예: 분기 실적 발표 후, 투자자들이 과거 매출 성장에 대한 예측이 맞았는지 확인.
- 중요성(Materiality):
중요한 정보는 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예: 소규모 사무용품 비용은 중요성이 낮아 세부적으로 공시하지 않아도 되지만, 대규모 투자금액은 반드시 공시해야 한다.
2) 표현충실성 (Faithful Representation)
표현충실성은 정보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하고 진실되게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 완전성(Completeness):
필요한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예: 손익계산서를 작성할 때 매출뿐 아니라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등 모든 관련 비용도 함께 표시.
- 중립성(Neutrality):
정보가 특정 이해관계자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아야 한다.- 예: 자산 평가 시 시장가치를 왜곡하지 않고 그대로 반영.
- 오류 없음(Freedom from Error):
자료에 중요한 실수나 오류가 없어야 한다.- 예: 세무보고서에 잘못된 계산이 있으면 신뢰성이 훼손됨.
2. 보강적 질적특성 (Enhancing Qualitative Characteristics)
근본적 질적특성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1) 비교가능성 (Comparability)
비교가능성은 정보를 통해 기간별 혹은 기업 간 비교가 가능해야 한다는 의미다.
- 일관성(Consistency):
- 동일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동일한 회계정책과 기준을 유지하는 것.
- 예: 감가상각 방법을 정액법으로 적용해왔다면, 다른 회계기간에도 같은 방법을 유지해야 비교 가능.
- 통일성(Uniformity):
- 여러 기업이 동일한 회계기준(IFRS 등)을 적용하여 재무정보를 비교할 수 있게 만드는 것.
- 예: 모든 기업이 자산을 공정가치로 평가하면, 투자자는 서로 다른 기업 간 재무상태를 쉽게 비교 가능.
차이점:
- 일관성은 한 기업 내부에서의 시간적 비교에 초점.
- 통일성은 여러 기업 간의 공간적 비교를 가능하게 함.
- 비교가능성은 이 둘을 포괄한 개념으로, 정보가 의사결정을 돕는 유용성을 증대.
2) 검증가능성 (Verifiability)
- 정보가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해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
- 예: 공정가치 평가 시, 독립된 평가 전문가들이 같은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지 검증.
3) 적시성 (Timeliness)
- 정보가 제공되는 시점이 적절해야 한다.
- 예: 실적 발표가 너무 늦으면 투자자들이 이미 결정을 내린 뒤이므로 정보 가치가 떨어짐.
4) 이해가능성 (Understandability)
- 정보가 명확하고 간결하여 이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예: 비재무 전문가인 투자자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재무제표와 추가 주석을 제공.
3. 포괄적 제약요인: 원가 (Cost)
재무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용(원가)**이 발생하며, 정보 제공으로 인한 편익이 이 원가를 초과해야 한다.
- 예: 작은 규모의 변경사항에 대한 공시를 위해 높은 비용이 든다면, 그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 것이 합리적이다.
시험을 위한 요약 포인트
- 근본적 질적특성은 목적적합성과 표현충실성이며, 각각 세부 요소를 기억해야 한다.
- 보강적 질적특성인 비교가능성은 **일관성(Consistency)**과 **통일성(Uniformity)**을 포함하며, 이들의 차이점도 시험에서 자주 묻는다.
- 원가-편익의 균형을 강조하는 원가 제약 요인도 중요한 논점이다.
728x90
반응형
'공부는 끝이 없다.. >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재무제표의 일반적 속성, 재무상태표의 표시 대원칙, 재무상태표의 표시방법 (0) | 2025.01.16 |
---|---|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재무제표 요소의 인식 기준 (0) | 2025.01.16 |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재무제표의 기본 요소 (0) | 2025.01.16 |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포괄적 제약요인: 효익과 원가 간의 균형이란 무엇인가 (0) | 2025.01.16 |
[재경관리사 재무회계] 국제회계기준(IFRS)과 일반기업회계기준(GAAP)의 특징과 차이점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