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ODM 업체들이 영업이익률이 높지 않은 이유
- 브랜드 로열티가 없다: ODM 업체는 브랜드를 소유하지 않으며, 대신 다른 브랜드나 기업의 설계 및 요구에 맞춰 제품을 제조한다. 이 때문에 자체 브랜드의 프리미엄 가격을 받을 수 없고, 브랜드 로열티도 없다. 브랜드 가치는 직접 창출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 책정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어렵다.
- 주로 저마진 상품 ODM을 맡는다: 많은 ODM 업체들은 저마진 상품을 주로 다룬다. 예를 들어,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전자제품이나 소형 가전 제품, 소비재 등은 마진이 적고 경쟁이 치열하다. 이러한 제품을 생산하는 ODM 업체는 이익률이 낮을 수밖에 없다.
- 다품종 소량 생산 제품이 많다: ODM 업체는 다양한 제품을 다뤄야 하고, 소량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대량 생산에 비해 단위 생산비가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다품종 소량 생산은 효율성이 떨어지며, 고정비 부담이 커져 영업이익률이 낮아질 수 있다.
- 가동율이 낮다: 많은 ODM 업체들은 기계 가동율이 낮거나 설비가 여유가 있는 경우가 많다. 생산 라인이 100% 효율적으로 가동되지 않으면, 고정비 부담이 커져 이익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생산 라인의 전환 비용이나 저가의 단기 생산이 반복되면 가동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투자 판단 기준: 영업이익율보다는 CAPA 증설과 매출 성장율에 초점
ODM 업체들에 대한 투자 판단에서 영업이익율은 중요한 지표가 아니며, 대신 다음의 두 가지 지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 CAPA(생산능력) 증설:
- CAPA 증설은 ODM 업체가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나타낸다. 이는 생산 능력을 늘려서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대량 생산을 통해 단위 생산비 절감과 마진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CAPA 증설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시장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 매출 성장율:
- ODM 업체는 영업이익률이 낮지만, 매출 성장률이 높다면 이는 시장 점유율 확대와 고객사 다각화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매출 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고객사와의 관계가 강화되거나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는 등의 사업 확장을 의미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회사의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ODM 업체들은 영업이익률이 낮은 이유가 여러 가지 있으며, 이는 주로 브랜드 로열티의 부재, 저마진 제품의 생산, 다품종 소량 생산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ODM 업체에 대한 투자 판단은 영업이익률에 집중하기보다는, CAPA 증설과 매출 성장율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생산 능력 확대와 매출 성장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Logistics > 물류 현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팡이츠, 배달앱 시장 재편 가속… '배민 독주' 흔들린다 (0) | 2025.01.31 |
---|---|
온라인 소매업의 경쟁 우위 - 상품 구색과 배송 속도 (0) | 2025.01.11 |
오카도(Ocado), 현존하는 최고의 DPS 시스템을 이용하는 세계 최대의 온라인 식품 유통 회사 (0) | 2025.01.06 |
물류 개선, 단독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 전체적인 물류 흐름을 조망할 필요성 (1) | 2025.01.05 |
마켓컬리, 왜 DPS 대신 DAS/QPS 방식을 사용했을까? (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