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벌기 (경제, 경영, 재테크)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금’ 상승… 글로벌 투자자금 몰린다

픽마 2025. 2. 12. 09:27
728x90
반응형

 

격동하는 시기.
누군가는 불만을 토로하고, 누군가는 나랑 상관없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누군가는 지금 현상을 활용해서 돈을 벌고 있다.

 

“트럼프가 흔들수록 오르네”…불확실성 증폭에 전세계 뭉칫돈 몰리는 이것 - 매일경제

트럼프 관세 행정명령 발언후 금값 연일 올라 역대 최고치 개인투자자 이달 190억 매수 금 현물ETF도 324억 사들여 팍스·테더골드 등 金담보 코인 가상자산 하락세에도 ‘선방’

www.mk.co.kr

반응형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 가격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금 현물뿐만 아니라 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및 금 연동 가상자산(금 코인)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금 가격 상승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 주요 무역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행정명령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증시가 출렁이고 있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 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며, 국내외 투자자들은 금 관련 자산으로 자금을 옮기고 있다.

🔹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의 금값 상승

  • 2025년 2월 10일 KRX 금시장에서 금값은 g당 15만2800원에 마감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 이는 전 거래일 대비 4.95% 상승한 수치이며, 불과 한 달 전(1월 2일) g당 12만8790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8.64% 증가했다.

🔹 해외 금 시세도 강세

  •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금 가격이 출렁였으나, 최근 금의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 NH투자증권은 “세계 중앙은행들이 달러화 변동성을 헤지하기 위해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으며, 연방준비제도(Fed)가 긴축 정책으로 급선회하지 않는 한 금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개인 투자자, 금 투자 확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이후 개인 투자자들은 금 및 금 관련 ETF에 대한 투자 비중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 KRX 금 현물 투자 증가

  • 개인 투자자는 2월 들어 190억 원어치 금을 순매수하며 금 현물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 금 ETF로 자금 이동

  • KRX에서 거래되는 ACE KRX금현물 ETF는 개인투자자들의 집중적인 매수로 인해 324억 원의 순매수가 기록됐다.
  • 해외 시장에서도 금 ETF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 서학개미들은 지난 일주일(2월 1~7일) 동안 SPDR 금 ETF(GLD)를 882만 달러(약 129억 원) 순매수했다.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금’ 주목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시장이 최근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금 가격에 연동되는 ‘금 코인’은 상승세를 유지하며 안전자산의 역할을 하고 있다.

🔹 금 코인 상승세

  • 팍스골드(PAXG)와 테더골드(XAUt)는 2월 1일 대비 각각 2.48%, 2.42% 상승해 2898.18달러, 2868.7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반면, 비트코인은 6.36% 하락, 이더리움(-21.48%), XRP(-22.53%), 솔라나(-13.93%) 등 주요 가상자산이 약세를 보였다.

🔹 금 코인의 특징

  • PAXG와 XAUt는 실물 금을 담보로 한 스테이블코인으로, 런던금시장연합회(LBMA)에서 거래되는 금 1트로이온스(31.1g) 가격에 연동된다.
  • XAUt는 현재 7667.7㎏(644개 골드바) 상당의 금을 보유하며, 실물 금 거래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향후 전망 및 투자 전략

🔹 금 가격 상승 지속 가능성

  •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한 금 가격은 강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 연준이 긴축 정책으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금 및 은과 같은 귀금속 자산이 계속 주목받을 전망이다.

🔹 투자 전략

  1. 금 현물 및 금 ETF 투자 확대
    • KRX 금시장, SPDR 금 ETF(GLD) 등 안전자산으로의 분산 투자 필요.
  2. 가상자산 시장 내 금 코인 활용
    • 전통적인 금 투자 외에도 금 코인을 활용해 가상자산 시장의 변동성을 줄이는 전략 고려.
  3. 달러-금 가격 연계성 모니터링
    • 달러 지수와 명목금리 변화에 따라 금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 필요.

728x90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은 금 현물, 금 ETF, 그리고 금 연동 가상자산(금 코인)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

향후 글로벌 경기 상황과 연준의 정책 변화에 따라 금 가격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열려 있으며, 투자자들은 다양한 금 투자 전략을 활용해 변동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