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stics/물류 현안

트럼프 2기, '관세 경제'로 세수 확보 및 법인세 면제 실현 가능할까?

픽마 2025. 2. 6. 21:08
728x90
반응형

 

 

관세→세수확보→법인세 면제, 트럼프가 '꿈꾸는 세상' 실현될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경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관세로 소득세와 법인세를 대체하고, 세계 주요 수출 제조기업의 생산거점을 미국으로 옮기겠다는 트럼프의 꿈은 어느 정도

n.news.naver.com

 

트럼프 2기, '관세 경제'로 세수 확보 및 법인세 면제 실현 가능할까?

2025년 2월 4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관세 경제'를 본격화하면서 새로운 경제 정책을 제시했다. 그는 관세를 통해 세수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소득세와 법인세를 면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연 트럼프가 꿈꾸는 경제 모델이 실현될 수 있을까? 이 글에서는 그 가능성과 조건을 살펴본다.

반응형

관세로 소득세·법인세 대체?

트럼프는 1월 31일 행정명령을 서명하며, 미국의 경제 정책을 급진적으로 변경했다. 관세를 부과하여 미국 내 세수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소득세와 법인세를 면제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관세 부과가 경제 위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며, 이러한 정책이 실제로 실현될지에 대한 의문도 존재한다.

 

'관세 경제'의 세 가지 핵심 조건

트럼프의 구상이 현실화되기 위한 조건은 세 가지다.

  1. 법인세 0에 가까운 대폭 감세
    트럼프는 글로벌 최저한세 제도를 무시하고 미국의 법인세를 0에 가깝게 낮추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해외 대기업들이 미국으로 생산거점을 이전하게 유도할 수 있다.
  2. 석유 및 에너지 가격 하락
    미국은 이미 세계 최대 산유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트럼프는 에너지 비용을 최저 수준으로 만들어 인플레이션을 낮추겠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미국 기업들의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해외 대기업들의 미국 진출을 촉진할 수 있다.
  3. 세계 우량 수출 기업들의 미국으로의 생산거점 이동
    트럼프는 해외 대기업들이 생산거점을 미국으로 이전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이는 미국의 비미국 수출을 급증시키고, 달러 경제권이 사실상 전 세계로 확장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728x90

현실적인 시나리오는?

하지만 이러한 조건들이 현실화되기에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 트럼프의 2기 임기는 4년에 불과하며, 이미 많은 한국 대기업들이 생산거점을 해외로 이전한 상황에서, 미국으로 돌아오는 대기업들이 많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한국 제조업의 상당 부분은 해외에서 소비되거나 생산되고 있어, 이 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이다.

트럼프의 '관세 경제'는 무역 상대국들에게 큰 압박을 가할 수 있으며, 세계 경제의 흐름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과연 트럼프가 꿈꾸는 '관세 부과→세수 확보→법인세 면제'라는 경제 모델이 실현될지는 불확실하다. 시간과 조건이 맞아떨어지지 않으면, 그 실현은 어려울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