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OUT?"…파나마, 美와 손잡고 홍콩계 기업 정리하나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파나마 정부가 파나마운하 항구를 운영하는 홍콩계 기업과의 계약 해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
n.news.naver.com
🌎 "중국 OUT?"… 파나마, 미국과 손잡고 홍콩계 기업 정리하나?
파나마 정부가 파나마운하 항구 운영권을 가진 홍콩계 기업과의 계약 해지를 검토하고 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파나마운하를 되찾겠다"**며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는 가운데 나온 조치다.
과연 파나마가 미국과 손잡고 중국을 배제하는 전략을 펼칠 것인지, 그리고 이에 따른 국제 정세 변화는 어떻게 전개될지 살펴보자.
🚢 트럼프의 경고: "파나마운하를 되찾겠다!"
-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파나마 정부는 홍콩계 CK허치슨홀딩스 자회사인 허치슨포트와의 계약 해지를 검토 중이다.
- 허치슨포트는 1997년부터 파나마운하 양 끝에 있는 발보아와 크리스토발 항구를 운영해 왔으며, 2021년 2047년까지 계약을 연장한 상태다.
- 하지만 미국은 중국이 파나마운하를 통제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 트럼프 대통령 발언:
"파나마가 일정 부분 동의했지만 만족스럽지 않다. 우리는 운하를 되찾거나 아주 강력한 무언가를 원한다."
트럼프는 필요하면 무력으로도 파나마운하를 탈환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향후 미·중 간의 갈등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파나마의 입장 변화: 미국 편으로 기우나?
파나마 정부는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행보를 보이며 친미 정책을 공식화했다.
✅ 미국 해군 함정의 파나마운하 우선 통행 보장
✅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에서 공식 탈퇴
이는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에서 벗어나 미국과 협력하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도 **"중국의 파나마운하 영향력은 용납할 수 없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 파나마운하를 둘러싼 미국 vs 중국의 갈등
🌏 배경: 파나마운하의 중요성
- 1914년 개통된 파나마운하는 미국이 건설하고 관리했다.
- 2000년부터 파나마 정부가 운영권을 넘겨받았지만, 미국은 ‘영구적 중립성’ 보장 준수 등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 현재 파나마운하는 전 세계 해상 물류의 5%를 차지하는 전략적 요충지로, 미국과 중국 모두에게 중요한 곳이다.
⚠ 미국의 주장
- 파나마가 "영구적 중립성" 조건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운하 재탈환 가능성을 시사.
- 중국이 파나마운하를 장악할 경우, 미국의 글로벌 물류 시스템과 군사 작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우려.
⚠ 중국의 입장
-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통해 파나마운하 주변에 거대한 인프라 투자를 진행하며 영향력을 확대해 왔음.
- 미국의 개입이 중국의 경제적 이익과 글로벌 해운 전략을 방해하는 행위라고 반발할 가능성이 큼.
🔮 향후 전망: 미·중 신냉전의 또 다른 전선이 될까?
🚀 미국과 파나마의 협력이 강화된다면?
- 중국 기업의 파나마운하 사업 철수 가능성
- 미국 해군의 전략적 영향력 확대
- 미·중 간 경제·군사 갈등 심화
⚠ 중국이 반격할 경우?
- 중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 (무역·외교적 대응)
- 중국이 다른 해상 물류 경로(예: 북극항로) 개발에 속도를 낼 가능성
파나마운하는 단순한 물류 거점이 아니라 미·중 패권 경쟁의 최전선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사태가 미국과 중국의 ‘신냉전’ 구도를 더욱 심화시키는 계기가 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Logistics > 물류 현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2.0 시대와 한국 수출: 청신호일까 적신호일까? (0) | 2025.02.06 |
---|---|
🚨 공급망 비용 절감? 위험한 착각! 기업 생존을 결정하는 공급망 투자 (0) | 2025.02.06 |
배민 라이더는 한 달에 얼마나 벌까 (1) | 2025.02.06 |
쿠팡 직원들은 한 달에 얼마나 벌까? (0) | 2025.02.06 |
🚨 불면증·우울증 개선 해외직구 식품, 정말 안전할까? 🚨 (1)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