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gistics

보험 가입 금액은 그대로 주는 것이 원칙인가요?

by 픽마 2025. 2. 11.
728x90

보험가입금액이 그대로 지급되는지는 보험의 종류와 보험금 지급 방식에 따라 다르다.

1. 정액보험 vs 실손보험에 따른 차이

1️⃣ 정액보험 (약정 금액 지급)

  • 보험계약 시 정해진 보험가입금액을 사고 발생 시 그대로 지급함.
  • 손해액과 관계없이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방식.
  • 예시: 생명보험, 정액 지급 방식의 암보험, 사망보험 등
    • 예: A가 사망보험에 가입하면서 보험가입금액을 1억 원으로 설정했다면, 사망 시 손해액과 관계없이 1억 원을 지급받음.

2️⃣ 실손보험 (실제 손해액 보상)

  • 실제 손해액을 기준으로 보상하며, 보상 한도는 보험가입금액을 초과할 수 없음.
  • 예시: 자동차보험(대물·대인), 화재보험, 건강보험(실손의료보험) 등
    • 예: B가 화재보험에 가입하면서 가입금액을 5억 원으로 설정했지만, 화재로 인한 손해가 3억 원이라면 실제 손해액인 3억 원만 지급됨.

2. 초과보험과 일부보험의 영향

보험가입금액이 보험가액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 지급 금액이 달라질 수 있다.

초과보험 (보험가입금액 > 보험가액)

  • 보험가입금액이 보험가액보다 크더라도 실제 손해액 이상으로 지급되지 않음.
  • 보험가액 초과분은 의미가 없으며, 불필요한 보험료를 납부하게 됨.
  • 예: 건물의 실제 가치(보험가액)가 10억 원인데 보험가입금액을 15억 원으로 설정했더라도, 전소 시 10억 원까지만 지급됨.

일부보험 (보험가입금액 < 보험가액)

  • 보험가입금액이 보험가액보다 적으면 비례보상 원칙이 적용될 수 있음.
  • 보험가액 대비 가입금액의 비율만큼 보상하는 방식.
  • 예: 건물 가치가 10억 원인데 보험가입금액이 5억 원이라면, 손해액 4억 원 발생 시 (5억 원 ÷ 10억 원) × 4억 원 = 2억 원만 보상됨.

  • 정액보험(사망보험, 정액형 암보험 등): 보험가입금액을 그대로 지급.
  • 실손보험(자동차보험, 화재보험, 실손의료보험 등): 실제 손해액만 지급되며, 보험가입금액이 한도를 결정.
  • 초과보험: 보험가입금액이 커도 실제 손해액까지만 지급.
  • 일부보험: 보험가입금액이 작으면 비례보상될 수 있음.

 

따라서 모든 보험에서 가입금액을 그대로 지급하는 것은 아니며, 보험의 유형과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