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gistics

보험가입금액 (Insured Amount)과 보험가액 (Insurable Value)의 뜻과 차이점

by 픽마 2025. 2. 11.
728x90

보험가입금액과 보험가액은 보험 계약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보상 한도와 실제 가치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1. 보험가입금액 (Insured Amount)

  • 보험계약자가 보험사와 계약할 때 설정하는 금액.
  • 보험금 지급 한도를 의미하며, 사고 발생 시 이 금액을 초과하여 보상받을 수 없음.
  • 실손보험(실제 손해액 보상 방식)이 아닌 정액보험(약정된 금액 지급 방식)에서는 보험가입금액이 보험금과 동일할 수 있음.

예시
A가 자동차보험에 가입하면서 가입금액을 1억 원으로 설정한 경우, 사고로 인해 실제 손해가 1억 2천만 원이라도 보험사는 최대 1억 원까지만 보상함.

 


 

2. 보험가액 (Insurable Value)

  • 보험 목적물(재산, 건강 등)의 실제 경제적 가치.
  • 보험 가입 시점이나 사고 발생 시점에서의 평가액이 될 수 있음.
  • 화재보험, 해상보험 등의 경우, 보험가액을 초과하는 보험가입금액을 설정하면 초과분은 보상받을 수 없음.

예시
B가 건물 화재보험에 가입하면서 보험가액(건물의 실제 가치)은 10억 원인데, 보험가입금액을 8억 원으로 설정한 경우, 전소되더라도 최대 8억 원까지만 보상받음(일부 보험에서는 비례보상 가능).

 


 

3. 차이점 정리

구분보험가입금액보험가액

정의 보험 계약 시 설정한 보상 한도 보험 목적물의 실제 경제적 가치
보상 기준 설정한 가입금액까지만 보상 손해 발생 시 최대 실제 가치(보험가액) 범위 내에서 보상
초과 여부 보험가입금액 초과 손해는 보상 불가 보험가액 초과 가입 시 초과분 보상 불가
적용 예시 생명보험, 자동차보험 화재보험, 해상보험

 


 

4. 추가 개념: 초과보험과 일부보험

  • 초과보험: 보험가입금액이 보험가액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부분은 보상받을 수 없음.
  • 일부보험: 보험가입금액이 보험가액보다 적은 경우, 일부 보험에서는 비례보상 원칙이 적용될 수 있음.

예시

  • 보험가액 10억 원, 보험가입금액 8억 원 → 일부보험(비례보상 가능)
  • 보험가액 10억 원, 보험가입금액 12억 원 → 초과보험(보상은 최대 10억 원)

 

보험가입금액은 보상 한도를 의미하며, 보험가액은 대상의 실제 가치를 의미하므로, 적절한 가입금액 설정이 중요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