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BIS 비율-BIS Ratio
☞BIS 비율(BIS Ratio) = 국제결제은행(BISㆍ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에서 산정하는 은행의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 위험가중자산은 은행이 고객에게 빌려준 돈의
n.news.naver.com
📌 국제결제은행(BIS)이 산정하는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 공식: BIS 비율 = (자기자본 ÷ 위험가중자산) × 100
📌 은행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
BIS 비율이 중요한 이유
📌 금융위기 예방: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BIS 비율이 더욱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됨
📌 투자자 신뢰 확보: BIS 비율이 높을수록 투자 유치 및 대외 신인도 상승
📌 은행 리스크 관리: 부실채권 증가에 대비해 은행이 충분한 자기자본을 유지하도록 유도
BIS 비율의 의미와 중요성
✅ BIS 비율이 높을수록:
✔️ 은행의 부실 위험이 낮고, 재무건전성이 우수함
✔️ 예금자 보호 및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
✅ BIS 비율이 낮을수록:
❌ 은행이 부실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높음
❌ 금융위기 시 신용경색 및 연쇄 부도 가능성 증가
✅ 국제적 기준:
📌 BIS 권고 기준: 8% 이상 유지 권장
📌 우량은행 평가 기준: 10% 이상
국내 은행 BIS 비율 현황(2022년 말 기준)
📈 전체 국내 은행 평균 BIS 비율: 15.25%
📈 5대 금융지주사 BIS 비율:
- KB금융: 16.16%
- 신한지주: 15.99%
- 농협지주: 15.73%
- 하나금융지주: 15.67%
- 우리금융지주: 15.30%
✅ 한국은 2000년 이후 10% 이상의 BIS 비율을 유지 중
✅ 최근 10년간 꾸준히 상승하며 금융 건전성이 개선되는 추세
BIS 비율은 국제결제은행(BIS)에서 정한 은행의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은 은행이 고객에게 빌려준 돈의 상환 가능성을 평가한 뒤, 미상환 위험도가 높은 자산에 가중치를 적용해 산출됩니다. 고객이 대출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 은행은 부실채권을 쌓게 되며, 이는 개별 은행의 손실을 넘어 국가 경제 전반의 신용경색과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국제사회는 각 은행이 BIS에서 권고하는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BIS 비율의 정의
BIS 비율은 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자본 건전성이 양호하고 부실 위험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IS 비율은 은행이 잠재적으로 떠안고 있는 위험가중자산을 자기자본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BIS 비율의 중요성
BIS 비율은 은행의 리스크 개선 능력을 나타내며, 이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BIS 비율이 낮으면 은행이 위험자산을 과도하게 보유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예금자 보호와 금융 시장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BIS 비율 계산 방법
위험가중자산은 은행이 보유한 자산의 위험도를 반영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자산의 총합입니다. 이 비율을 통해 은행의 자본이 얼마나 안정적인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비율(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BIS) ratio)이란 무엇일까?
자기자본비율의 개념과 의미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기자본비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기자본비율은? 전체 자산 중에서 자본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전체 자산이 100이고 그 중에
icantalk.tistory.com
BIS 비율의 국제 기준
BIS 비율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으로, 각국의 은행들이 이 기준을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BIS는 최소 자기자본 비율을 설정하여 은행들이 금융 위기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은 금융 안정성을 높이고, 은행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전성지표 BIS대신 TCE비율 뜨나 - 매일경제
순수 자기 자본만으론 부실위험에 얼마나 견디나 판단
www.mk.co.kr
한국의 BIS 비율 현황
한국의 BIS 비율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은행들이 자본 건전성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020년 말부터 2023년 3월까지의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주요 은행들은 평균적으로 BIS 비율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은행 BIS비율 개선세…자본건전성 파란불 - 대한금융신문
국내 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국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전분기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가중자산의 증가보다 자본의 증가가 컸던 덕이다.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3월 말
www.kbanker.co.kr
BIS 비율과 금융 안정성
BIS 비율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IS 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은 더 많은 자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금융 위기 상황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IS 비율은 금융 시장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BIS 비율 관련 자주 묻는 질문
- BIS 비율이란 무엇인가요?
- BIS 비율은 은행의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 BIS 비율이 낮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 BIS 비율이 낮으면 은행이 위험자산을 과도하게 보유하고 있다는 신호로, 이는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BIS 비율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 은행은 자본을 증대시키거나 위험가중자산을 줄이는 방법으로 BIS 비율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돈벌기 (경제, 경영, 재테크) > 경제경영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PC (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의 뜻, 배경, 목적, 영향 (0) | 2025.02.23 |
---|---|
채권수익률(Yield To Maturity, YTM)의 뜻, 계산 방법, 경제적 의미, 투자 방법 (0) | 2025.02.21 |
📌 채권 만기수익률(YTM, Yield To Maturity) 계산법 (0) | 2025.02.21 |
개인 투자자들의 귀환… "국내 증시 활기, 빚투 다시 증가" (0) | 2025.02.21 |
디폴트(Default)의 뜻, 원인, 경제적 영향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