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gistics

항만 용어 – 부두와 계류시설 뜻, 종류, 역할, 중요성, 운영 관리

by 픽마 2025. 3. 8.
728x90

📌 요약 정리

✅ 부두(Wharf)란?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을 하역하거나 여객이 승하차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부두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포함된다.

화물처리시설
보관시설
선박 보급시설
여객시설(대합실 등)
임항 교통시설

💡 부두의 종류
1️⃣ 일반부두 – 다양한 용도로 사용
2️⃣ 전용부두 – 특정 목적(컨테이너, 자동차 등)으로 사용
3️⃣ 전문부두 – 특수화물(유류, LNG 등)을 처리하는 부두


✅ 계류시설(Mooring Facilities)이란?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을 하역하고 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만든 접안 설비를 총칭한다.
대표적인 계류시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주요 계류시설

1️⃣ 잔교 (Jetty, Landing Pier)

  • 해안에서 바다 방향으로 돌출된 교량 형태의 접안시설
  • 말뚝을 박고 그 위에 콘크리트나 철판을 덮어 설치
  • 선박의 접·이안이 용이하도록 설계됨

2️⃣ 부잔교 (Floating Pier)

  •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곳에서 수위에 관계없이 접안 가능하도록 설계된 부체(부유식 부두)
  • 부유 구조물을 연결하여 부두 기능 수행

3️⃣ 물양장 (Lighter's Wharf)

  • 소형 선박(1,000톤급 미만)이 접안할 수 있는 간이부두
  • 보통 전면 수심이 4~5m 이내
  • 어선·부선 등이 주로 이용

4️⃣ 돌핀 (Dolphin)

  • 대형 유조선 등이 부두에 직접 접안하지 않고 해상에서 하역할 수 있도록 만든 시설
  • 육지와는 도교(Bridge)로 연결되어 있음
  • 해상에서 일정 수심이 확보된 위치에 설치

📌 Deep Dive

부두와 계류시설의 정의

부두는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을 하역하거나 승객이 승하차하는 시설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부두는 여러 가지 형태로 나뉘며, 각기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계류시설은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도록 돕는 구조물로, 부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설들은 해양 물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부두의 종류

부두는 크게 일반 부두, 전용 부두, 그리고 전문 부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 부두는 다양한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로, 상업적인 목적에 주로 사용됩니다. 전용 부두는 특정 기업이나 기관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부두로, 특정 화물이나 용도에 맞춰 설계됩니다. 마지막으로 전문 부두는 특정한 종류의 화물, 예를 들어 석유나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부두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부두의 종류는 각기 다른 산업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합니다.

계류시설의 종류

계류시설은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대표적으로 안벽, 잔교, 부잔교, 물양장, 돌핀 등이 있습니다. 안벽은 수직의 벽체로 구성되어 선박이 접안할 때 맞닿는 부분입니다. 잔교는 선박과 육지를 연결하는 구조물로, 주로 승객이 승하차하는 데 사용됩니다. 부잔교는 물 위에 떠 있는 형태로, 주로 작은 선박이나 보트를 위한 시설입니다. 돌핀은 독립적으로 설치된 구조물로, 선박을 안전하게 고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다양한 계류시설은 선박의 안전한 정박을 보장합니다.

이미지 출처

부두와 계류시설의 중요성

부두와 계류시설은 해양 물류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 시설이 없으면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없고, 화물의 하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또한, 승객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는 데도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부두와 계류시설의 적절한 운영과 관리는 해양 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부두와 계류시설의 운영 및 관리

부두와 계류시설의 운영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됩니다. 이들 시설은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경 보호와 관련된 규정도 준수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해양 물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Article

원문

 

항만용어, 그것이 궁금하다! 부두와 계류시설에 대해 알아보자!

평소 바다, 항만에 관심이 있었다면 한 번쯤 들어봤을 항만 용어! ‘부두’는 주변에서 쉽게 접한 경험이 있으셨을 텐데요. 그 외에도 다양한 항만 용어가 있답니다.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

incheonport.tistory.com

평소 바다, 항만에 관심이 있었다면 한 번쯤 들어봤을 항만 용어! ‘부두는 주변에서 쉽게 접한 경험이 있으셨을 텐데요. 그 외에도 다양한 항만 용어가 있답니다.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와 SNS에서 항만 용어를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릴 예정인데요, 오늘은 부두 계류시설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부두 (Wharf)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을 하역하고 또 여객이 승하강하는 장소를 말합니다. 화물처리시설, 보관시설, 선박 보급시설, 항만후생시설, 대합실 등의 여객시설, 임항 교통시설 등의 육상 부분들도 포함한 광범위한 임항 지대를 총괄하여 부두라고 하는데요. 부두는 일반 공부두, 전용으로 이용하는 전용부두, 특수화물을 취급하는 전문부두로 구별됩니다.


계류시설 (Mooring facilities)


선박이 접안해서 화물을 적하하고 승객이 승강을 하는 접안 설비를 총칭하는 말입니다. 안벽, 잔교, 부잔교, 물양장, 돌핀, 계류 부이 등 시설의 총칭입니다. 그렇다면 잔교, 부잔교, 물양장, 돌핀이 무엇인지 알아봐야겠죠?


잔교 (Jetty, Landing pier)


해안선이 접한 육지에서 직각 또는 일정한 각도로 돌출한 접안시설을 말합니다. 선박의 접·이안이 용이하도록 바다 위에 말뚝을 박고 그 위에 콘크리트나 철판 등으로 상부 시설을 설치한 교량 모양의 접안시설이 원래의 형식인데요. 그러나 차츰 변화하여 말뚝 대신에 우물통, 공기케이슨, 보통의 케이슨, 각주구 등을 설치하여 직립부를 만들고 이것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부잔교 (Floating pier)


조석 고저의 차이가 심한 곳에서 조위에 관계없이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부함을 1개 또는 여러 개 연결하여 부두 기능을 갖도록 한 부체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물양장 (Lighter's wharf)


전면 수심이 보통 45m 이내인, 1천 톤급 미만의 소형선박이 접안하는 간이부두를 물양장이라고 말해요. 주로 어선·부선 등이 접안하여 하역을 합니다!


돌핀 (Dolphin)


유조선 등이 부두에 직접 접안하지 않고 해상에 정박한 상태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을 말합니다. 육지와 상당한 거리에 있는 해상에서 일정 수심이 확보되는 위치에 소정의 선박이 계류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시설한 구조물인데요. 육지와는 도교로 연결되어 있어요.
 
하나하나 살펴보니 더욱 친근하게 느껴지는 인천항! 이제 바다 부근을 지나가다 익숙한 모형들이 보이면 ! 이거 잔교 아니야?”라고 반갑게 인사해 주세요!

 

 

 

쿠팡은 왜 스스로를 물류회사가 아니라 IT기업이라고 하는가 - 랜덤 스토우(random stow)

쿠팡이 스스로를 물류 회사가 아닌 IT 기업이라고 칭하는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랜덤 스토우(random stow)**라는 그들만의 독특한 재고 관리 방법입니다. 랜덤 스토우 시스템은 쿠팡의 물

pigma.tistory.com

 

배달 플랫폼의 개념과 수익 모델

배달 플랫폼은 음식이나 상품을 소비자에게 배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온라인 주문, 배달원 연결, 결제 시스템 등을 포함하여 고객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합

pigma.tistory.com

 

퀵커머스(Quick Commerce, Q-Commerce)

퀵커머스(Quick Commerce, Q-Commerce)는 소비자가 주문한 상품을 신속하게 배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전통적인 전자상거래와는 달리, 퀵커머스는 주로 30분 이내 또는 1시간 이내에 상품을 고객에

pigma.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