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gistics/물류 현안

마켓컬리, 왜 DPS 대신 DAS/QPS 방식을 사용했을까?

by 픽마 2025. 1. 4.
728x90

마켓컬리(Market Kurly)는 새벽배송 서비스를 중심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온라인 쇼핑몰로, 특히 신선식품프리미엄 식료품을 빠르게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마켓컬리는 DPS(디지털 피킹 시스템, Digital Picking System) 대신 **DAS(디지털 어소팅 시스템, Digital Assorting System)**과 QPS(퀵 피킹 시스템, Quick Picking System) 방식을 채택한 이유가 있다. 이를 통해 마켓컬리는 효율적인 물류 처리와 빠른 배송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었다.

1. 주문이 몰리는 새벽배송 마감 시간

마켓컬리의 새벽배송 서비스는 오후 11시 주문 마감을 기준으로 운영된다. 이 시간대에 대부분의 고객들이 주문을 마친다. 이처럼 주문이 집중되는 특정 시간대에 맞춰 물류를 처리하려면, 기존의 DPS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DPS 방식은 주문을 처리하는 데 개별적인 피킹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물류 센터 내에서 각 상품을 선별하고 준비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반면, DAS/QPS 방식은 물류 처리 시스템을 분산화하고 자동화하여, 주문량이 몰리는 시간대에도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DAS는 물품의 분류와 정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여러 종류의 제품을 빠르게 분류하고 조합할 수 있다. QPS는 이를 보조하는 빠른 피킹 시스템으로, 주문된 상품을 빠르게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방식은 주문이 몰리는 오후 11시 즈음에도 빠르고 정확한 배송 준비가 가능하게 만들어, 마감 시간에 맞춰 효율적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2. 벤처 기업으로서의 초기 자본 부담 (Capex)

마켓컬리는 벤처 기업으로 시작한 만큼, 초기 **자본 지출(Capex)**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DPS 방식은 중앙 집중형 자동화 시스템을 요구하며, 대규모 물류 자동화 설비고비용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초기 자본이 적은 스타트업으로서 이런 큰 규모의 투자 비용을 감당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에 반해 DAS/QPS 방식분산형 시스템을 채택해, 물류 센터를 여러 군데에 나누어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분산된 시스템은 중앙 집중형 방식보다 초기 자본 부담이 적고,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물류를 처리할 수 있다. 마켓컬리는 적은 자본으로 효율적이고 유연한 물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고, 이는 비용 절감과 더 빠른 배송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DAS/QPS 방식의 장점

  1. 효율적인 주문 처리: DAS는 상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정리하고, QPS는 주문된 상품을 신속하게 피킹할 수 있어, 마감 시간인 오후 11시에도 빠른 처리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2. 비용 절감: DAS/QPS 방식은 중앙집중형 자동화 시스템보다 저비용으로 물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벤처 기업으로서의 자본 부담을 줄여준다.
  3. 유연한 물류 처리: DAS/QPS 방식은 분산형 물류 시스템을 통해 여러 지역에서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주문량이 몰려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결론

마켓컬리가 DPS 대신 DAS/QPS 방식을 선택한 이유는, 주문 집중 시간대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자본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이었음을 알 수 있다. DAS/QPS 시스템은 마켓컬리가 새벽배송이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물류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에도 큰 역할을 했다. 이를 통해 마켓컬리는 빠른 배송고품질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