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gistics

총평균법(Weighted Average Method)이란 무엇인가 - 재고 관리에서 사용되는 회계 방법 중 하나로, 재고의 단가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방법

by 픽마 2025. 1. 15.
728x90

총평균법(Weighted Average Method)은 재고 관리에서 사용되는 회계 방법 중 하나로, 재고의 단가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재고의 매입 단가가 일정하지 않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이 변동할 때, 모든 재고의 평균 단가를 계산하여 이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1. 총평균법의 정의

총평균법은 특정 기간 동안에 매입한 재고의 총 비용을 매입한 재고의 총 수량으로 나누어, 전체 재고의 평균 단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평균 단가는 이후 재고가 판매될 때 사용되며, 재고 자산 평가와 매출원가를 계산하는 데 활용된다.

2. 총평균법 계산 방법

총평균법은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이 후, 매출을 발생시킬 때마다 이 평균 단가를 적용하여 재고의 매출원가(COGS)를 계산한다.

예시:

  • 첫 번째 매입: 100개의 상품을 10,000원에 구입
  • 두 번째 매입: 200개의 상품을 12,000원에 구입
  • 세 번째 매입: 150개의 상품을 15,000원에 구입

총 매입 비용 = 10,000 + 12,000 + 15,000 = 37,000원
총 매입 수량 = 100 + 200 + 150 = 450개

따라서, 평균 단가 = 37,000 / 450 = 82.22원

이 평균 단가(82.22원)는 이후에 매출이 발생할 때, 판매된 재고의 원가를 계산할 때 사용된다.

3. 총평균법의 장점

  • 간편성: 총평균법은 계산이 간단하고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기업에서 사용한다.
  • 재고 평가의 단순화: 재고 단가 변동이 잦은 상황에서도 평균값을 사용하여 재고 평가를 통합적으로 할 수 있어 유용하다.
  • 세금 혜택: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평균 단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매출원가가 높아져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4. 총평균법의 단점

  • 정확성 부족: 가격이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 특정 매입 가격을 반영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재고 원가를 계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가격 변동에 따른 왜곡 가능성: 매입 가격이 급변하는 경우, 전체 재고의 평균 가격이 왜곡될 수 있어, 가격 변동에 민감한 제품의 경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 세금 계산에 의한 왜곡: 물가 상승 시, 평균 단가가 과거의 낮은 가격을 반영하므로 실제 재고 평가와 맞지 않을 수 있다.

5. 총평균법의 활용

  • 소매업: 소매업체나 제조업체에서 재고가 다양한 가격에 매입될 때, 전체 재고에 대해 일관된 가격을 적용하는 데 유용하다.
  • 회계 및 재무 관리: 재고 평가 및 매출원가 계산을 단순화하려는 기업에서 사용된다.
  • 세무 관리: 세무 신고 시, 세금 계산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총평균법은 여러 차례의 매입이 이루어졌을 때, 전체 재고의 평균 단가를 계산하여 재고를 평가하고, 매출원가를 산출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가격 변동성이 큰 산업에서는 그 정확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다른 방법들과 함께 활용하는 것이 좋다.

 
 
 
 
728x90